nest (5) 썸네일형 리스트형 [Nest] [클린코드 2편] Guard와 Decorator로 요청 처리 깔끔하게 구현하기 [Nest] [클린코드 1편] JWT 발급 및 인증 구조 깔끔하게 구현하기 (Postman API 테스트) [Nest] [클린코드 1편] JWT 발급 및 인증 구조 깔끔하게 구현하기 (Postman API 테스트)👋 소개안녕하세요! 대학생 개발자 주이어입니다.오늘은 Nest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Nest는 현재 제가 프로젝트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백엔드 프레임워크 인blog.juyear.dev이전 글 읽으러 가기! 👋 소개안녕하세요! 대학생 개발자 주이어입니다.오늘은 Nest 클린코드 두 번째 글이고, Guard와 Decorator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편에서 작성했던 코드에 이어서 진행할 예정이니, 혹시 "JWT 발급 및 인증" 부분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 [Nest] [클린코드 1편] JWT 발급 및 인증 구조 깔끔하게 구현하기 (Postman API 테스트) 👋 소개안녕하세요! 대학생 개발자 주이어입니다.오늘은 Nest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Nest는 현재 제가 프로젝트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백엔드 프레임워크 인데요. 원래는 Nest관련 글을 따로 분리해서 적지 않고, 프로젝트 제작 글에 조금씩 설명하는 식으로 진행했었습니다.그런데 이번에 Nest로 여러 백엔드 아키텍쳐와 클린 코드 등 심화 부분에 대해서 공부하게 되면서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정리하고 싶어 Nest라는 카테고리를 따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 첫 번째 글로 서버 보안의 기초인 JWT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그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JWT 란?JWT(JsonWebToken)를 구현하기 전에, 먼저 JWT의 개념과 사용 목적을 이해해야.. [DISMU] Discord 노래봇의 새로운 기준, AI 노래 플랫폼의 가능성 (프로젝트 소개, 시장 분석) [DISMU] WebSocket을 활용한 공용 플레이리스트 구현 (nest, next) [DISMU] WebSocket을 활용한 공용 플레이리스트 구현 (nest, next)👋 소개안녕하세요! 대학생 개발자 주이어입니다!오늘은 글을 진짜 오랜만에 올리게 되었는데요. 최근에 여러 프로젝트를 제작하면서 개인 공부에 집중하다 보니 블로그 작성하는 주기가 조금blog.juyear.dev이전 글 읽으러 가기! 👋 소개안녕하세요! 대학생 개발자 주이어입니다.오늘은 제가 최근에 제작하여 내부 테스트를 진행중인 DISMU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 기능 및 사용 기술도 같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술 스택Frontend : Next.js, ts, html, css-.. [DISMU] WebSocket을 활용한 공용 플레이리스트 구현 (nest, next) 👋 소개안녕하세요! 대학생 개발자 주이어입니다!오늘은 글을 진짜 오랜만에 올리게 되었는데요. 최근에 여러 프로젝트를 제작하면서 개인 공부에 집중하다 보니 블로그 작성하는 주기가 조금 길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최근에 진행중인 DISMU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고,프로젝트를 제작하면서 사용된 기능중 하나인 "websocket을 활용한 공용 플레이리스트"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소개제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DISMU 프로젝트는 discord와 music을 합친 단어로, 디스코드 노래봇과 관련된 프로젝트입니다.디스코드를 사용하신다면 아마 한 번 쯤은 노래봇을 사용해보지 않았을까 싶은데요.물론 노래봇이 디스코드의 핵심 기능은 아니지.. [SANGMYUNG AI] 응답 속도 개선을 위한 스트리밍 설계, Next -> Nest -> Python 실시간 렌더링 [Python] 멀티프로세싱으로 처리 속도 올리기 (multiprocessing)이전 글 읽으러 가기! 👋 소개안녕하세요! 대학생 개발자 주이어입니다! 저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단순히 GPT API를 호출해 답변을 받는 구조로 챗봇을 제작하고 있었습니다.하지만 서버 배포 후 테스트 과정에서 무료 vm의 낮은 성능과 콜드스타트 등의 문제 때문에 답변을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졌고,이는 사용자 경험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번 TRAIVEL 프로젝트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있었지만 Next -> Express로 한 단계 통신이었기에 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하지만 이번의 경우 RAG 방식을 사용한 Next -> Nest -> Python으로 두 단계 이상의 통신이었고.. 이전 1 다음